영화이야기

변량에 평균을 빼는건 그 변량의 평균과의 거리

하늘과다리 2013. 1. 21. 13:43

한마디로 왜 퍼진 정도를 구하는데 이런 식을 계산하는거죠?

변량에 평균을 빼는건 그 변량의 평균과의 거리를 나타내는 걸테고

제곱을 하는건 평균에서 거리가 오른쪽 즉 양의 방향 과 음의 방향이 잇어 시그마를 하면 상쇄되 없어지기 때문인거 같은데

도수를 곱한건 그 평균과의 떨어진 지점에서의 존재 갯수?를 비로 나타내기 위한거 같은데

결국 예시로 "평균에서 2떨어진 애는 4떨어진 애들보다 인원이 두배 란다" 뭐 이런건가요?

거기까진 식으로 이해가 되도 왜 그걸 시그마를 하면 퍼진 정도가 되나요?

시그마를 하면 그냥 시그마를 때린 값을 구한거지 그게 왜 퍼진 정도가 되는지 모르겟네요

시그마엔 무슨 의미가 잇는거죠?

 

표준편차는 그냥 다 모르겟습니다

일단 왜 루트를 씌우는지

듣기론 분산에서 제곱을 햇으니까라고 하는데

제곱을 한건 시그마를 하기 전이니까  그걸 루트 씌운다고 사라지는게 아닐텐데....

각 값이 무슨 의미를 지닌 값이고 그 값을 구하기 위해 왜 저런 계산을 하는지 이해가 안됩니다